생활과학 #35 – 앗 뜨거! 으스스! 피부가 알려주는 온도 신호의 비밀

궁금한 건 바로 해결!
쉽게 배우는 생활 과학

우리 몸의 가장 바깥을 감싸고 있는 피부는 단순히 외부 자극을 막아주는 보호막이 아닙니다. 피부는 놀랍도록 정교한 감각 기관으로, 주변 환경의 온도를 끊임없이 감지하고 뇌에 신호를 보내죠. 마치 섬세한 레이더처럼 말이에요.

뜨거운 컵을 만졌을 때 "앗 뜨거!"하고 외치며 손을 떼거나, 차가운 물에 발을 담그면 온몸에 소름이 돋는 느낌, 이 모든 것이 바로 피부가 우리에게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피부 속에는 뜨거움과 차가움에 각각 다르게 반응하는 아주 작은 온도 센서들이 숨어 있습니다.

차가움 감지기, 크라우스 소체

차가움을 감지하는 센서의 이름은 크라우스 소체입니다. 이 소체는 얼음처럼 차가운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해 '차가워!'라는 신호를 신경을 통해 뇌로 보냅니다. 겨울날 차가운 바람이 뺨을 스치거나, 차가운 물을 만질 때 가장 먼저 활성화되는 것이 바로 이 크라우스 소체죠.

크라우스 소체에 의한 차가움 감지

뜨거움 감지기, 루피니 소체

반면, 뜨거움을 감지하는 센서의 이름은 루피니 소체입니다. 뜨거운 국물 냄비에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이 소체가 즉시 '위험해! 뜨거워!'라는 경고음을 울리며 뇌에 긴급 신호를 보냅니다. 덕분에 우리는 큰 화상을 입기 전에 재빨리 손을 피할 수 있습니다.

통합적 감각의 오케스트라

피부의 온도 감각은 이 두 센서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협주곡과 같습니다. 이 센서들은 단순히 뜨겁고 차갑다는 이분법적인 정보만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가 여러 악기의 소리를 조율하듯, 피부에 닿는 온도 변화의 속도, 강도, 지속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우리 뇌는 이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우리가 느끼는 '온도'라는 복합적인 감각을 완성합니다. 덕분에 우리는 시원한 바람, 따뜻한 햇살, 미지근한 물의 촉감까지 섬세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우리의 피부는 주변 환경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우리 몸을 보호하고, 세상을 더 풍부하게 느끼게 해주는 놀라운 능력의 소유자입니다. 혹시 차가운 음료수 캔을 쥐고 있나요? 그 시원함 뒤에 숨겨진 크라우스 소체의 신비로운 작용을 한번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댓글